- 자주하는 질문
-
복막투석
배액의 섬유소
-
- 복막투석 백 교환시 배액된 배액백 내에 하얀 실 같은 것이 떠다니다가 계란 흰자위처럼 떠다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왜 일어나며 이 때는 어떤 응급처치를 해야 하나요?
- 혈장 성분의 하나인 섬유소원(fibrinogen)이 섬유소로 되어 실같이 응고되거나 심하면 계란 흰자위처럼 큰 덩어리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섬유소가 복막투석 도관 내에서 굳어지면 도관을 막아서 복막액의 주입이나 배출에 장애를 유발합니다. 복막액에 실 같은 것이 떠다니거나 계란 흰자위 같은 것이 보이면 헤파린 2,000단위를 복막액에 섞어서 투입하십시오.
-
복막투석
복막염과 애완동물
-
- 얼마전 아버지께서 복막투석을 하기 시작하셨습니다. 근데 저희 집에는 8년동안 키워 온 애완견이 있습니다. 투석을 하게 되면 애완견때문에 감염되기 싶다고 그러던데 환자와 직접적인 접촉을 못하도록 해도 위험한가요? 아버지께서 편찮으신 것도 맘이 아프지만 8년 동안 키운 강아지를 없애야 한다는 것도 맘이 아파서요.
- 예, 애완동물은 감염의 위험을 높이므로 가능하면 환자와 같이 생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투석실에 출입은 절대 금지시켜야 하고 밖에서 키우더라도 환자나 환자의 교환을 담당하는 분이 치료 전 후에 개와 접촉하지 말아야 합니다. 환자의 정서나 치료를 위하여 개를 키우는 것이 꼭 필요하다면, 개의 치료실 출입 금지, 개와 접촉 후 철저한 손씻기, 위생 철저 등을 지키며 키울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옷 등에 묻어 오는 감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는 없습니다.
-
복막투석
복막염의 원인
-
- 복막투석을 하는 사람입니다. 마스크도 착용하고 방 청소 상태도 깨끗하고 손도 깨끗히 씻고 평소와 같이 투석을 했는데 투석액 색깔이 흐려서 병원엘 갔더니 복막염이라는 군요...복막염이 걸린 원인을 잘 모르겠습니다. 다른 원인으로도 복막염이 올수 있나요?
- 열심히 관리를 해도 일부 환자에서는 복막염이 생깁니다. 투석 환자에서 면역이 약해서 복막염이 오기 쉽고, 또 밖에서 균이 들어 가는 이외에 드물지만 설사를 하거나 간경화증 등 배안의 염증 소견이 있어도 복막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복막투석
복막투석식이
-
- 복막 투석은 식사 제한이 없다고 들었습니다. 사실인가요?
- 복막 투석 환자는 혈액 투석 환자보다 식사의 섭취가 자유롭습니다. 칼로리의 필요량은 개인의 영양 및 건강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보통 단백질과 포타슘 함유 식품의 섭취에는 제한이 필요 없습니다. 그러나 소금과 수분은 고혈압과 부종이 있는 경우 제한 할 필요가 있습니다.
-
복막투석
자동복막투석 (성인)
-
- 엄마가 약 한달전쯤 복막투석을 하기 시작하셨어요. 신장질환 강연회에 다녀오신 엄마가 하루에 한번만 하는 투석방법이 있더라며 궁금해 하세요. 어떻게 하는 것이며 장비가 있어야 하는건지 그리고 모든 신장질환 환자에게 적합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 자동복막투석은 밤에 한번 설치하고 주무시면 밤동안 기계가 자동으로 투석액을 주입,배액하는 과정을 3-5회 반복하여 아침에 일어나면 투석이 끝나있어 마무리만 하시면 됩니다. 장비는 대여가 되고 약간의 비용의 차이가 있으며 자동복막기계를 사용하기 전에 복막기능이 자동복막에 적합한지에 대해 일단 점검을 받으셔야 하는데, 담당선생님과 연락을 하시고 상담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직 국내에서의 보급률은 10%미만이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60%가 넘을 정도로 대중화되어 있습니다.
-
복막투석
자동복막투석 (소아)
-
- 5세된 남자아이입니다. 투석한지 3개월 정도 되었는데 최근 다른 환아에게서 밤 동안 기계에 의해 투석하는 방법이 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 방법을 아무나 다 할 수 있는 것인지, 또 24시간 투석하는 기존의 방법과 효과는 동일한지 알고 싶습니다.
- 물론 누구나 다 할 수 있으며 특히 소아와 활동을 많이 하는 청소년에게 많은 이점이 있으며 미국에서는 소아의 경우 기존의 방법인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CAPD)보다 자동화 복막투석(APD)을 더 많이 하고 있습니다. APD는 낮에는 활동을 제한하는 투석액 교환을 피할 수 있으므로 투석액 교환이 부적절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활동적인 환자나 혹은 학교에 다니는 환아들에게 선호되고 있으며 소아의 경우 부모와 환아의 피로감을 피할 수 있습니다.
